학과안내

 

목회학과



 학과 안내

목회자 및 교회지도자가 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준비된 신학교육과정입니다. 목회학과에서는 예비목회자에게 교회사역 전반에 필요한 다양한 영역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목회학과 과정은 성경원어를 통한 성서의 해석을 포함한 성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 역사 속에서의 신학의 흐름과 목회현장에서 필요한 실천적인 적용의 분야까지 신학의 전 분야를 체계적으로 준비하도록 계획되어 있습니다.

 

 

 

 

 커리큘럼

 

 

구분 1학년
1학기 학점 2학기 학점
공통필수 구약 구약개론 3 성경해석학(구약) 3
신약 신약개론 3 성경해석학(신약) 3
역사 초대교회사 3 중세교회사 3
성경원어 헬라어(필) 3 히브리어(필) 3
기초 논문작성법 PASS/NO    
전공과목 실천 목회리더십 3 예배학 3
소계   15   15

 

 

구분 2학년
1학기 학점 2학기 학점
공통필수 주경(조직) 주경신학개론 3

주경신학Ⅰ

(신론/인간론)

3
구약 모세오경(필) 3 역사서 3
신약 사복음서(필) 2

서신서Ⅰ(필)

(바울서신)

3
역사 종교개혁사 3 근현대교회사 3
전공과목 실천 설교학 3 설교실습 3
소계   15   15

 

 

구분 3학년
1학기 학점 2학기 학점
공통필수 주경(조직) 주경신학Ⅱ
(기독론/구원론) 
3 주경신학Ⅲ
(교회론/종말론)
3
구약 시가서 3 선지서 3
신약 서신서Ⅱ
(일반서신)
3 요한계시록 3
교회사 한국교회사 2    
전공과목 목회학 비교종교학 2 교회정치와 헌법 2
전도와 실제 3 교회성장학 3
    강해설교(특강) 3
소계   16   17
목회학과 이수학점- 공통과목 68학점 / 전공과목 25학점 *학점총계 : 93학점

 

 

목회학과 선택 수강 과목
1학기 2학기
No. 학과목 학점 No. 학과목 학점
1 요한문헌 특강 3 1 목회상담학 3
2 전도서 특강 3 2 전문인 선교전략 3
      3 선교와 문화 3
위 과목 중 일부를 선택하여 추가 수강 할 수 있습니다.

 

 

• 요한문헌: 요한복음, 요한일서, 요한이서, 요한삼서

• 바울서신: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빌레몬서

• 공동서신: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유다서

 

※커리큐럼은 학교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선교학과



 학과 안내

"선교의 비전을 갖고 있는 예비목회자들을 위해 준비된 신학교육과정입니다. 선교학과는 목회에 필요한 성서와 신학적 지식은 물론 세계의역사와 다양한 문화현상을 선교적 관점에서 보는 시각을 형성하며 또한 급변하는 세계를 살아가는 세계 여러 나라 종족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는 전문적인 선교 전문가와 선교적 사명을 가진 목회자가 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습니다.

 

 

 

 

 커리큘럼

 

 

구분 1학년
1학기 학점 2학기 학점
공통필수 조직 조직신학Ⅰ 3 조직신학Ⅱ 3
구약 오경(모세오경) 3 -  
신약 공관복음 3 요한문헌 3
교회사 초중세교회사 3 종교개혁사 2
성경원어 -   헬라어 3
기초 논문작성법 PASS/NO 성경해석학 2
전공필수 선교학 선교신학 3 전문인선교전략 3
선택 택1~2 찬양기획 2 한송가학 2
목회리더십 2 목회실습 2
소계   17~19   18~20

 

 

구분 2학년
1학기 학점 2학기 학점
공통필수 조직 조직신학Ⅲ 3 현대신학 2
구약 역사서 3 대선지서  
신약 사도행전 2 바울신학 3
교회사 근현대교회사 3 -  
성경원어 -   히브리어 3
교육상담 기독교교육학개론 PASS/NO 목회상담 3
전공필수 선교학 선교역사 3 선교이론과 실재 3
소계   17   17

 

 

구분 3학년
1학기 학점 2학기 학점
공통필수 조직 -   기독교강요 3
구약 소선지서 3 시가서 3
신약 공관복음 3 요한계시록 3
공동서신 3
교회사 -   한국교회사 3
지리 성경지리 3 -  
전공필수 선교학 선교실습 2 비교종교학 2
선교특강 3 복음과 문화 2
선택 택1~2 교회정치행정 1 -  
전도와 실제 2 -  
강해설교 3 -  
소계   17~21   16

 

 

• 학과 이수 학점 - 공통필수 76학점

                        전공필수 21학점

                        선택 5학점 이상

                        학점 총계 102학점 이상

 

• 요한문헌: 요한복음, 요한일서, 요한이서, 요한삼서

• 바울서신: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빌레몬서

• 공동서신: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유다서

 

※선택과목은 택1하여야 하나 원하는 경우 2과목 수강도 허용됨

※커리큐럼은 학교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전공과목내용

 

• 선교행정과 전략(Mission Administration & Strategy)
• 개혁주의 선교학(Reformed Missiology)
• 현장 사역의 실제(교회개척)(Practice of Field (Church Planting))
• 비교종교학(Comparative Religion)
• 남은 과업을 위한 전방 개척(Frontiers for the Remaining Tasks)
• 선교 상담과 치유방법(Mission Counseling and Healing methods)
• 세계 선교 역사(Mission History of the World)
• 이슬람 연구(Islamic Studies)
• 권역/지역 연구Ⅰ(중동지역 중심)A Field of Religion StudiesⅠ(Focused on Middle East) 현대 선교 동향(Contemporary Mission Trends) 선교 리더십(Mission Leadership)
• 권역/지역 연구Ⅱ(인도 북부 중심)A Field of Religion Studies(Focused on India's northern)

 

 

 교과목 개요

 

개혁주의 선교학(Reformed Missiology)
성경적 사고를 통한 개혁주의적 입장에서 접근하는 선교이론의 정립과 신학적 재조명을 통한 개혁주의 선교사로서의 바른 신학을 토대로 사역하도록 하는데 있다.

현장 사역의 실제(교회개척)(Practice of Field (Church Planting)
선교현장에 일어나는 교회 개척에 대한 기본적 교회운영과 개척의 실제, 접근적 방법, 목회자로서의 자세를 익히므로 현장 사역에 맞춤형 선교 사역자로 배양시키는데 있다.

비교종교학(Comparative Religion)
세계의 종교들의 교리와 세계관, 의례와 종교 경험, 종교의 구성 요소들을 기독교와 다른 종교들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세계 여러 종교들 가운데서 기독교의 탁월성과 변증을 찾아서 새로운 선교의 방어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선교 상담과 치유방법(Mission Counseling and Healing methods)
선교지에서 일어나는 개인적 심리변화, 가정안에 갈등뿐만 아니라 현지인과 갈등 및 선교사와의 갈등까지 겪어야 하는 심리상태에 대해 사전에 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심리 상담자로서의 대응을 익히도록 하는 실제적 교육과 치유를 익히는데 있다.

세계 선교 역사(Mission History of the World)
지금까지 진행된 선교역사를 시대별, 교파별로 이해함으로서 선교시대별 특징을 파악하고, 선교를 위한 교훈과 지혜와 선교적 열정을 배운다.

이슬람 연구(Islamic Studies)
중동과 이슬람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정보의 필요성과 지식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이슬람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있다.

권역/지역 연구Ⅰ(중동지역 중심)(A Field of Religion StudiesⅠ- Focused on Middle East)
지역연구의 개념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연구에 필요한 기본적 사회과학 접근 및 인문과학적 기본 기준을 통해 개별국가 또는 중동지역을 연구하는 방법, 기법 및 그 논리를 다룬다.

현대 선교 동향(Contemporary Mission Trends)
21세기에 일어나는 선교적 흐름과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활동하는 국제 선교단체, 선교 지도자들과 선교 운동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미래를 향한 선교의 비전과 통찰력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선교 리더쉽(Mission Leadership)
선교활동에 필요한 지도자의 유형 발굴과 지도력 개발을 통한 선교지내에 지도자로서의 위치를 배우고 현지 목회자와 평신도들에게 필요한 지도자 선택과 훈련을 통한 과정을 배우게 된다.

권역/지역 연구Ⅱ(인도 북부 중심)(A Field of Religion Studies(Focused on India's northern)
지역연구를 통한 아시아지역과 인도의 종교와 문화, 사회구조를 통해 창의적 접근방법을 익히고 연구 리서치를 통해 지역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만드는데 있다.